1. 목적
○ 사회적경제 상품‧서비스의 기술혁신 및 사업화를 통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성장(Scale-up) 및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함
* 사회적경제기업 : 사회적기업, 협동조합, 마을기업, 자활기업
2. 사업내용
○ R&D : 14개 비수도권 지역의 22개 프로젝트 분야에서 도출한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제품‧서비스 기술을 개발
▪ 다수 사회적경제기업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대학, 연구소 등이 개발·이전하거나 개별 사회적경제기업이 필요한 기술을 직접개발
○ 비R&D : 14개 비수도권 지역의 22개 프로젝트 분야의 사회적경제기업 간 네트워킹‧협업‧조직화, 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술‧사업화 등 지원
< 시도별 프로젝트 현황 >
지역 | 프로젝트 | 지역 | 프로젝트 |
부산 | 도시재생 | 충북 | 바이오산업, 태양광유지보수 |
대구 | 업사이클, 식품클러스터 | 충남 | 유통판매, 산림에너지 |
대전 | 의료 | 전북 | IT문화 |
광주 | 헬스케어 | 전남 | 화장품소재, 태양광보급 |
울산 | 공예품 | 경북 | 친환경섬유, 돌봄 |
세종 | IT문화, 도시청결 | 경남 | IT수산시장 |
강원 | 로컬푸드 | 제주 | 폐자원활용, 로컬푸드, 에너지설비 |
* 시도별 사업내용은 붙임의 품목개요서를 참고
3. 지원예산
○ ‘18년 약 12,409백만원 (국비 8,680백만원, 지방비 3,729백만원)
구분 | R&D | 비R&D | ||
국비 | 지방비 | 국비 | 지방비 | |
지원예산 | 3,430백만원 | 1,470백만원 | 5,250백만원 | 2,259백만원 |
4. 공모방식
○ 품목지정 : 장관이 품목을 지정하되 제시된 품목 내에서 자유공모 방식으로 과제 및 수행기관을 선정하는 방식
5. 신청자격
○ R&D : 지역혁신기관 주관 컨소시엄
▪ 주관기관 : R&D역량을 가진 지역혁신기관
▪ 참여기관 : 사회적경제기업, 대학, 연구소, 지역특화센터,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등 비영리기관
○ 비R&D :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 주관 컨소시엄
▪ 주관기관 : 사회적경제 중간지원조직
▪ 참여기관 : 사회적경제기업, 영리기업, 대학, 연구소, 지역특화센터 등 비영리기관
* 주관기관과 참여기관은 반드시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신청지역에 소재하고 있어야 하며, 사회적경제기업은 접수마감일 기준으로 부처인증을 받은 기업만 신청 가능
6. 과제별 지원규모 및 지원기간
구분 | R&D | 비R&D |
연간 지원규모 | 3.5억원 내외 | 5.4억원 내외 |
지원기간 | 21개월 (1차년도 : ‘18.4월~’18.12월, 2차년도 : ‘19.1월~’19.12월) |
* 상세한 지원규모 및 지원기간은 붙임의 품목개요서를 참고
* 평가위원회에서 과제별 지원규모가 조정될 수 있음
7. 지원조건(정부출연금 및 민간부담금 비율)
○ R&D : 수행기관 유형에 따라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100%까지 지원
수행기관 유형 | 국비 및 지방비 지원기준 | 민간부담금 부담비율 | 민간부담금 중 현금비율 |
대기업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33% 이하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67% 이상 | 해당 수행기관 민간부담금의 60% 이상 |
중견기업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50% 이하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50% 이상 | 해당 수행기관 민간부담금의 50% 이상 |
중소기업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67% 이하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33% 이상 | 해당 수행기관 민간부담금의 40% 이상 |
그 외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100% 이하 | 해당 수행기관 사업비의 0% 이상 | 필요시 부담 |
* “중소기업”이란「중소기업기본법」제2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(중소기업 범위)에 따른 기업
* “중견기업”이란 「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」제2조 제1호의 기업
* “대기업”이란「중소기업기본법」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및 「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」제2조제1호에 따른 중견기업이 아닌 기업
○ 비R&D : 총 사업비의 100% 이하로 국비 및 지방비를 지원하며, 민간부담금은 과제별 자율매칭
8. 신청방법
○ 양식교부처
▪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(www.kiat.or.kr) 사업공고
○ 신청방법 : 온라인 접수(입력 후 접수증 및 요약서 출력) → 서류제출
○ 온라인 접수
▪ 접수기간 : `18.2.19(월) 09:00 ~ `18.3.8(목) 18:00까지
▪ 접 수 처 : www.k-pass.kr (시스템 문의 : 02-6009-4379, 4374, 4376)
○ 서류제출
▪ 제출기간 : `18.2.19(월) 09:00 ~ `18.3.9(금) 18:00까지 도착분에 한함
▪ 제 출 처 :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305 한국기술센터 12층 지역산업육성팀 (우편번호 : 06152)
▪ 제출서류 목록
연번 | 구분 | 제출서류 | 부수 | 비고 |
1 | 필수 | K-Pass 접수증 | 1부 | K-Pass에서 출력 |
2 | 사업계획서 | 10부 | 원본1부, 사본9부 | |
3 | 수행기관장 및 참여자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| 1부 | 기관별 1부 | |
4 | 수행기관의 신청자격 적정성 확인서 | 1부 | 기관별 1부 | |
5 | 신규평가 우대 및 감정 신청·확인서 (증빙서류 첨부 필수) | 1부 | - | |
6 | 법인등기부 등본(법인해당시), 사업자등록증 사본 | 1부 | 기관별 1부 | |
7 | 최근 3개년도 회계감사보고서 또는 결산재무제표 확인원 | 1부 | 기업만 제출 | |
8 | 선택 | 연구시설·장비 구입 및 활용계획서 | 1부 | 해당시 제출 |
9 | 수행기관의 신규참여연구원 채용(예정)확인서 | 1부 | 해당시 제출 | |
10 | 중견기업확인서 | 1부 | 해당시 제출 |
* 제출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
▪ 문 의 처
담당부서 | 연락처 | |
시행부처 | 산업통상자원부 지역투자과 | 044-203-4425, 4428 |
전담기관 |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산업육성팀 | 02-6009-3731 (cb2018@kiat.or.kr) |